이 글에서는 펩트론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거래에서 중요한 부분은 현재 기업 가치보다는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먼저 행동하는 것입니다. 투자할 종목을 고르기 전에 현재 기업의 상황과 지표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펩트론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정리하여 제공하니 투자 시 참고하시길 추천합니다.
펩트론 기업 개요
펩트론는 바이오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최호일 이며 설립일은 1997/11/21, 주식 상장일은 2015/07/22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94명 이고 본사 주소는 대전시 유성구 유성대로1628번길 37-24입니다.
비밀 TOP 뉴스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 빠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
펩트론 주가 분석
펩트론 현재 주가는 36,000원이며 전일 대비 -1,35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펩트론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최호일(외 7인)이 지분 9.46%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펩트론는 바이오 기업으로 장중 기준으로 주가는 36,000원 입니다. 삼성전자의 시가 총액은 7684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7.02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566,001% 이며 장중 거래량은 20,626,853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25억 원, 영업이익은 -152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없음원이며 펩트론 주식 배당수익률은 7,426% 입니다.
단기적인 투자를 고려한다면 대주 상황 정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투자 계획이라면 대주 상황과 대표의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펩트론 가치 분석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펩트론는 전체 기술주 2,063개 기업 중 803위 등급인 상위 40.66%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91개 기업 중 37위 등급인 상위 40.66%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9개 기업 중에서는 3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25.64%, 대표 섹터 하위 20.88%, 대표 테마 8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고평가되어 있습니다.
펩트론 주식 결론
<플랫폼 기술 구현 노력>
-동사는 1997년 설립 이후 펩타이드 공학 및 약효지속화 기술을 바탕으로 약효지속성 의약품의 설계와 제조기술 개발, 펩타이드의 합성기술 개발과 신물질 발굴 등을 수행하고 있음. 주요 파이프라인은 크게 전립선암 치료제, 말단비대증 치료제, 2형 당뇨병치료제,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제 등으로 구분. 주사제 완제 생산 가능한 GMP 제조시설을 보유, 여기서 생산한 의약품으로 파킨슨병 임상시험 및 전립선암 치료제 생동시험을 진행중임.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1% 감소, 영업손실은 39% 증가, 당기순손실은 49.4% 증가. 연구개발비 부담으로 영업손실 시현중이나 장기간의 투자가 필요하고 연구비 비중이 타 산업에 비해 매우 높다는 특성을 감안할 필요 있음. 오송 공장 준공 및 KGMP 인증 획득으로 플랫폼 기술인 SmartDepot 기술 적용 연구 진행.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제의 파킨슨병에 대한 국내 임상2상 진행 중.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그리고 개인 등 세 가지 주요 매수 세력이 활동하며, 그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가 가장 큰 매수 주체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주식 시장에서 큰 매수자이지만, 투자 선택이 각각 다르므로 제일 약한 세력입니다. 간단히 표현하면, 투자 전략이 집중되지 않아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졌던 것입니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라가고, 세력이 약해도 투자 전략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외국인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외국인의 매수는 가짜일 가능성이 크며 개인의 단기 거래는 기관과 흡사하기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모두 매수하는 종목을 찾아 투자하는 것은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며, 이러한 양측 매수는 그 종목의 질을 보증합니다. 주식의 전망을 분석하려면 기업체의 상태, 시장 내 위치,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패턴을 조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